사회취약계층 환경성질환 예방사업은 사회취약계층의 거주 공간에 대한 생활환경 유해인자를 점검하고, 컨설팅을 통해 환경복지를 증진하는 사업입니다.
목차
지원대상
저소득, 소년소녀가정, 조손가정, 한부모가족, 독거노인, 장애인가구, 다문화가정 등 사회취약계층 및 아토피, 천식 등 환경성질환[1]환경성질환이란 아토피 피부염, 알레르기 비염, 천식 등 생활환경 속에서 환경오염물질에 노출되어 인체의 외부를 자극하거나 인체에 … Continue reading이 있는 소아청소년 혹은 어르신이 거주하는 가구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지원혜택
생활환경 진단 및 컨설팅
TVOC, 폼알데하이드, 미세먼지, CO2, 곰팡이, 집먼지 진드기 등의 실내환경 오염물질을 진단하고 생활환경 개선 컨설팅, 친환경 주거개선 등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
친환경 주거개선
환경성질환 유발인자의 농도를 측정하고 점검해서 실내공기질 오염이 심한 가구에 대해 친환경 벽지, 장판, 페인트 등의 실내환경을 개선받을 수 있습니다.
무료 진료서비스
아토피, 천식, 알레르기 비염 등 환경성질환 전문 환경보건센터와 연계하여 환경성질환 어린이를 대상으로 진료서비스를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.
※ 한부모가족이 생업으로 아이를 환경보건센터에 데리고 가기 어려운 경우에도 환경보건 컨설턴트가 아이와 동행해 진료 전 과정에 대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. 또한, 부모님이 아이를 데리고 병원에 방문할 경우 휴무로 인한 손실비용 일부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
신청방법
지자체(시·군·구) 및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서 대상가구를 선정하여 환경부에 추천합니다.
- 대상자 신청·접수 : 3~6월
- 현장방문(진단·컨설팅) : 5~8월
- 실내환경 개선공사 : 7~10월
- 환경성질환 소아·청소년 진료 지원 : 7~11월
문의처
- 한국환경산업기술원(전화번호: 02-2284-1813, 1827)
- 전국 14개 시도 및 시군구 환경정책과(환경보전과)
참조
↑1 | 환경성질환이란 아토피 피부염, 알레르기 비염, 천식 등 생활환경 속에서 환경오염물질에 노출되어 인체의 외부를 자극하거나 인체에 흡수·축적되면서 발생하는 질환을 뜻합니다. |
---|